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자바개발자
- JSX기본문법
- 백준
- 일상
- 리액트공부
- 개발
- 자바오류
- 프론트엔드개발
- Thymeleaf
- 개발자
- DB오류
- MariaDB
- 자바
- 스프링부트
- 알고리즘문제
- springboot
- 개발오류
- 프론트엔드개발자
- 웹개발자
- 리액트
- springboot오류
- 백준알고리즘
- 리액트기초
- 개발공부
- GitHub
- 타임리프
- 코딩테스트
- 백엔드개발
- 개발자일상
- 자바스크립트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정복, 로맨틱. 성공적
[SpringBoot] thymeleaf(타임리프) 뜻, 사용법, 문법 본문
728x90
반응형
thymeleaf
- 웹 및 독립 실행형 환경 모두를 위한 최신 서버 즉 JAVA 템플릿 엔진
- html은 브라우저에 올바르게 표시 될 수 있고 정적 프로토타입으로도 작동한다.
- HTML을 동적으로 렌더링 하는 용도로 사용
- spring framework용 모듈
- 템플릿 엔진(Template Engine) 이란?
- 웹 서비스를 만들 떄에는 서버의 데이터와 정적 자원(html, css, image)을 조합해야 됨
-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 웹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2가지
- SPA(Single Page Application) - 최초 한번 전체 페이지를 다 불러오고 응답 데이터만 페이지 특정 부분 렌더링.
- SSR(Server Side Rendering) -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방식, 요청시 마다 서버에서 처리한 후 새로고침으로 페이지에 대한 응답
사용법
html 태그 위에 코드 추가
문법
xmlns:th |
|
th:text |
![]() |
th:fragment |
|
th:block |
|
th:replace |
|
th:href |
|
xmlns:layout, xmlnslayout:decorator |
|
h:block layout:fragment |
|
th:action |
|
th:object |
|
th:field |
|
th:checked |
|
th:inline="javascript" |
|
th:if, th:unless |
|
th:each |
![]() |
반응형